<어쩔 수가 없다 (No Other Choice / 어쩔수가없다)>는 2025년 개봉한 대한민국의 풍자·블랙 코미디·스릴러 영화로,
박찬욱 감독이 연출 및 공동 각본을 맡았으며, 도널드 E. 웨스트레이크의 소설 《액스 (The Axe)》를 원작으로 한다.
이병헌, 손예진, 박희순, 이성민, 염혜란, 차승원 등이 출연하며, 사회 구조와 인간 본성, 빈부 격차, 생존 욕망을 꼬집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작품은 거대 기업과 부당한 평가 체계, 경쟁 구조 아래 놓인 개인의 선택을 날카롭게 풍자하면서도,
코미디와 강렬한 서스펜스를 병합해 관객을 몰입하게 만든다.
이번 리뷰에서는 <어쩔 수가 없다 줄거리>, <인물과 연출>, <해석과 메시지>, 개인적 느낀점, 그리고 관람 팁까지 모두 다룬다.
줄거리 요약 — 해고된 가장의 선택과 복수의 연쇄
주인공 만수(이병헌 분)는 25년 경력의 제지 회사 전문가로, 행복한 가정과 안정된 삶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어느 날 돌연 회사에서 해고 통보를 받게 되고,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압박이 그의 삶을 흔든다.
만수는 재취업을 시도하지만 번번이 실패하고, 가족은 빚과 위기에 휩싸인다.
절박해진 그는 경쟁사인 문 페이퍼에 이력서를 제출하지만, 그곳에서 모욕적인 대우를 받는다.
자존감이 무너진 그는 결국 비도덕적이고 폭력적인 선택을 향해 나아가기로 결심한다.
그의 복수 계획은 단순한 폭력 이상으로 번지며, 주변 인물들을 휘말리게 된다.
만수가 마주한 선택은 ‘정당한 복수’일까, 아니면 구조의 희생자인가?
이 복잡한 구도 속에서 영화는 관객에게 윤리적 딜레마를 던진다.
인물과 연출 — 블랙코미디와 서스펜스의 균형
만수 역의 이병헌은 절망과 분노 사이를 오가며, 인간의 억눌린 욕망과 부당한 현실에 대한 반응을 보여준다.
그의 표정 하나, 동작 하나가 그의 내면을 드러내며, 관객은 그가 왜 그런 선택을 했는지 공감과 충격 사이를 오간다.
이미리(손예진 분)는 만수의 아내로서 상실과 갈등 속에서도 가족을 지키려 한다.
그녀의 존재는 만수가 내린 선택의 도덕적 무게를 더욱 부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박찬욱 감독은 블랙 유머와 날카로운 카메라 연출을 혼합한다.
느리게 끌다가 순간적으로 폭발하는 장면, 어두운 조명 아래 감정이 터져 나오는 장면 등은
스릴러적 긴장감을 주면서도 블랙 코미디의 아이러니를 놓치지 않는다.
특히 화면 구도와 색감은 일상과 폭력 사이의 경계를 강조하며,
현실과 비현실이 뒤얽히는 감각을 조성한다.
해석과 메시지 — 구조적 폭력과 인간 선택의 무게
이 영화는 단순한 복수극이 아니라, 사회 구조와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질문을 던진다.
첫째, 구조적 폭력과 시스템의 희생자성이다.
해고, 저임금, 평가 시스템 등은 개인을 무너뜨리는 거대한 틀이며,
만수는 그 틀 아래 휘말린 개인의 얼굴이다.
둘째, 선택의 윤리다.
그는 폭력을 선택하지만, 영화는 그 선택이 단순히 정당화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복수는 해답이 아니며, 선택은 결국 책임을 동반한다.
셋째, 인간의 존엄과 생존 사이의 갈등이다.
가정과 생계를 지키려는 욕망은 인간의 본성에 가깝지만,
그 욕망이 폭력으로 흐를 때 비극이 된다.
따라서 <어쩔 수가 없다>는 블랙 유머와 충격을 통해,
현대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인간의 불가피한 선택을 동시에 응시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개인적 느낀점
이 영화를 보고 나서, 나는 ‘살아남기 위한 선택’이 얼마나 무겁고 복잡한지를 새삼 느꼈다.
만수가 처한 고통과 절망은 공감되면서도, 그의 폭력적 선택은 쉽게 정당화되지 않았다.
아이러니와 모순, 그리고 인간의 본성을 고민하게 만드는 작품이다.